-
메르스 감염 비상... 방역에 구멍 숭숭...의의 2015. 5. 29. 18:18
- A. 중동 갔다온 첫 감염자 A씨(68) - 평택성모병원 2인실 2박3일 입원
- B. A씨를 간병하던 부인 B(63)
- C. 같은 병원에서 A씨와 2인실을 함께 사용하던 70대 남성 C씨(76)
- D. 70대 남성 C씨(76)의 40대 딸 D - 첫 번째 확진환자와 약 4시간 동안 같은 병실에 체류하면서 동시에 감염
- E. 17일 첫 번째 메르스 환자 A씨(68)를 진료했던 서울의 의원급 의료기관 의사 E
- F. 15~17일 첫 감염자 A씨(68)와 같은 병동 옆 병실에 입원했던 환자(71) F - 평택성모병원에서 수원 모 대학병원 (성빈센트 추정), 아산병원 갔다가 여의도 성모 거쳐서 서울국립중앙의료원 격리. 확인 결과 병원 대기실에서 진료를 기다리던 중 A씨와 접촉이 일어나 감염.
- G. 첫 감염자 A씨(68)를 진료했던 병동 간호사(28·여) G
- H. A씨의 아들 H - A씨와 접촉 후 증상 있었으나 의사의 권고 무시하고 직장출근, 홍콩을 거처 중국 광둥(廣東)성으로 출장, 정부에서 중국정부에 통보하여 중국에서 격리됨. 수백명 접촉의심. 같은 비행기에 탔던 모든 사람들이 상당히 추가환자가 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비행기안은 그폐쇄적인구조로 인해서 다른 어떤곳보다 전염 위험이높다고 한다). 광둥병원에서 1차 양성반응 나왔고 베이징병원에서 확진됨.
- I. 여덟 번째 환자는 국내 첫 메르스 환자인 A(68)씨가 처음으로 찾은 의료기관에서 지난 12일과 14·15일에 A씨를 진료했던 의료진으로, 1차 검사에서는 음성으로 확인됐었으나 28일 2차 검사에서 메르스 양성 반응을 보였다.
- J. 아홉 번째 환자는 A씨가 두 번째로 입원했던 병원에서 A씨와 같은 층 다른 병실에 입원해 있던 환자로, 또 다른 병원으로 옮겨 치료를 받던 중 가검물 검사에서 메르스 양성 반응을 보였다.
- 환자들은 전원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음압시설이 설치된 격리병상에서 치료받고 있고 두명은 위중함.
- 서울 여의도성모병원은 감염환자가 진료를 받은 것은 사실이나 상태가 좋지않아 이송되었으며 ICU는 정상가동중이다.
- 평택의 병원은 의사 4명과 간호사를 포함한 20여명의 직원이 자가격리 중이다.
- 보건당국은 총 120명의 밀접 접촉자를 격리 관찰 중이다.
예방
'의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몰유두 (0) 2015.09.02 비뇨기과가 어려운 이유 (0) 2015.08.13 제대혈 사기극에 백혈병 아이의 엄마입니다. (맘스홀릭 베이비(임신,출산,육아,교육) 펌) (0) 2015.08.10 메르스 아주대 아니라고 합니다. (0) 2015.05.31 요양병원 관련 8과 (0) 2015.05.16 백일해 (0) 2014.10.29 anti-mullerian hormone (0) 2014.09.26 약학대학입문자격시험(peet) (0) 2014.09.23